본문 바로가기
기후변화

'탄소중립', 언제부터 시작된 개념일까?

by CONTENT-ER 2024. 11. 29.

'탄소중립', 언제부터 시작된 개념일까?

탄소중립의 개념

탄소중립은 화석연료 사용 등 인간활동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 지구적 이산화탄소 흡수량과 균형을 이뤄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더 높아지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이산화탄소 순 배출량이 '0'이 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해 '넷 제로(Net Zero), 탄소 제로(Carbon Zero)'라고도 합니다.

탄소중립을 달성하려면 공장이나 차량의 화석연료 연소 등과 같은 인위적 배출을 최대한 줄여야 합니다. 그리고 나머지 이산화탄소는 습지, 숲 복원 등 흡수원을 확대해 흡수량을 늘리거나 네거티브 배출 기술(발전소, 제철소 등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또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제거하는 기술)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제거해야 합니다.

탄소중립이 필요한 이유

그렇다면 탄소중립은 왜 필요할까요? 지난 2021년 8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제6차 평가보고서(AR6 WG I)를 발표했습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2백만 년간 전례가 없던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전 지구적 이산화탄소 농도의 상승은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를 초래합니다. 기후변화는 폭염, 가뭄, 홍수, 폭설, 한파 등과 같은 극단적 자연재해를 발생시키며 이로 인한 인명 및 경제적 피해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실제로 2023년은 전 지구의 평균기온이 14.98℃로 측정되며 산업화 이래 가장 더웠던 해로 기록됐습니다. 이 해에는 아시아 지역 전체가 기록적인 폭염으로 몸살을 앓았으며, 하와이에서는 최근 100년간 최악의 산불이 발생했고, 리비아에서는 1년치 비가 15시간 사이에 퍼붓는 대홍수가 발생했습니다. 우리나라도 광주·전남 지역에서 50년 만의 가뭄이 발생해 지역민들이 식수난과 어업 생산량 감소 등의 피해를 겪었습니다.

2018년 국제사회에 등장한 '탄소중립'

국제사회는 이러한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1990년대 중반부터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억제하는 방안을 논의해 왔습니다. 2010년 칸쿤 합의에서 2℃ 억제 목표를 공식적으로 채택한 데 이어 2015년 12월 채택된 파리협정에서는 산업혁명 이전(1850~1900년 평균) 대비 2℃보다 훨씬 아래로 유지하고, 나아가 1.5℃ 아래로 억제하려고 노력해야 한다는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2018년 10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지구온난화 1.5℃ 특별보고서>를 발간하고,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을 크게 줄이기 위해 2050년까지 전 지구적으로 이산화탄소 순 배출량이 ‘0’이 되는 탄소중립이 달성돼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이후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이 전 세계 사회경제 구조의 질서를 선도하게 됐습니다.

탄소중립을 위한 우리나라의 노력

우리나라는 2020년 10월 탄소중립을 선포했습니다. 우리나라는 무역의존도가 주요국 대비 높아 글로벌 시장경제 질서의 변화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국제적 흐름에 신속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정부는 기후변화 대응 의지를 국제사회에 표명하기 위해 탄소중립 장기 비전과 국가 전략이 제시된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LEDS)'과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정부안을 마련하고, 녹색성장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친 뒤 유엔(UN)에 제출했습니다. 아울러 사회 각 부분을 총괄하는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수립하고 30년에 걸친 장기적인 과제를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했습니다.

2021년 9월에는 세계에서 14번째로 탄소중립을 법제화하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을 마련했습니다. 이 법은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경제·환경·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고, 녹색기술과 녹색산업의 육성·촉진·활성화를 통해 경제와 환경의 조화로운 발전을 도모함으로써, 현재·미래 세대 모두의 삶의 질을 높이고, 생태계와 기후체계를 보호하며, 국제사회의 지속가능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정됐습니다.

또한 우리나라 전체 온실가스의 40% 이상이 배출되는 가정·상업·수송 등 비산업부문에도 다양한 정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가정에서 에너지를 절감하거나, 자동차의 주행 거리를 줄이거나, 일상에서 탄소중립을 위한 행동을 실천할 때마다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탄소중립포인트제’가 대표적입니다.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

탄소중립은 산업의 전환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모든 구조와 생활방식의 대전환을 의미합니다. 개인, 가정, 학교, 기업, 지역사회가 함께 탄소중립을 생활 문화로 정착시켜야 하는 것입니다. 특히 비산업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은 산업부문에 비해 소요비용이 적으면서도 효과는 즉시 발생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오랫동안 굳어진 편리한 생활에서 '탄소중립 생활'이 일반화되기 위해서는 개인의 의지와 노력만으로는 어려울 것입니다. 예를 들어 종이컵이나 플라스틱 컵과 같은 1회용 컵 사용을 줄이기 위해 개인 컵을 사용하다가도 주변 동료들이 손쉽게 1회용 컵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면 '나 혼자 노력해봐야 무슨 소용이 있겠나'라는 생각에 실천 의지가 사그라들기 쉬울 것입니다.

그렇기에 우리 사회의 모든 생활방식을 탄소중립에 맞춰 바꾸려면 개인의 영역인 가정과 사회생활의 주요 영역인 기업, 그리고 미래세대를 육성하는 학교가 함께 바뀌어야 합니다. 특히 기업, 학교에서는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 캠페인을 통해 '탄소중립 생활화'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해야 하며, 구성원들이 실천하기 쉽게 시스템을 개선하고 함께 지켜야 할 규칙을 운영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기업과 학교는 고객,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실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 효과가 더욱 커질 것입니다.